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WWW.(World Wide Web)의 탄생, 그 히스토리?

최종 수정일: 2020년 4월 22일



무심코 당신이 주소창에 쓰는 것.

이제는 마치 우리들이 쓰는 휴대전화의 010- ..과 같은 디폴트 문자 3개가 있습니다.

바로!

'www.'


왜 하필 www로 인터넷 주소가 시작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CERN에서 www(World Wide Web)에 대한 히스토리를 풀어줍니다.


입자물리연구소에서 네트워크와 인터넷이라니?

좀 의외이긴 하죠?


인터넷의 발달과 네트워크 연결망은

인류 역사상 손에 꼽을 만한 엄청난 기술, 문명의 혁신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럼,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세상을 바꾼 이야기,

지금부터 들어볼까요?


***본 영상은 세른(CERN) 유럽입자물리연구소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CERN: https://home.cern/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출처 https://tv.naver.com/v/9000294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