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UED기술, 초고속 과학의 문을 열다?!

최종 수정일: 2020년 4월 22일



Ultrafast Electron Diffraction(UED)를 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뭐..함축적 의미를 생각 할 시간도 없이 이름 그 자체 감이 딱! 오긴 하죠?(특히 울트라에서...) 우리나라 말로 굳이 번역하자면, 초고속 전자 회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자 회절이 왜 물리학 분야에 중요한 이슈가 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ㅎㅎㅎ 결론적으로는, 이 기술을 통해서 우리는 물질의 구조에 대한 다이나믹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됩니다.그냥 그런 데이터라면 이렇게 거창하게 소개하진 않겠죠? 이 데이터가, 엄청난 속도, 그러니까 펨토초의 영역에서 구성된다는 것이 중요하죠! 본 영상에서는 이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받기까지 진행되는 UED의 원리에 대한 설명과 그 활용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그러면, 과연 제목처럼, 초고속 과학이 어떻게 가능하다는 것인지,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영상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SLAC: https://www6.slac.stanford.edu/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스탠포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


출처 https://tv.naver.com/v/9159504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