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3분만에 정리하는 '결정학'의 모든 것!

최종 수정일: 2020년 4월 22일



[공지] 1초~2초에 나오는 자막 中 "끊을까요" 를 "끓을까요?"로 정정합니다!! -------------------------------------------------------------------------------------------------------------------------------------------- 석회 동굴에 가 보셨다면, 천정에서 삐쭉삐쭉 뻗어내려온 석회 결정들을 본 적이 있으셨을 거에요~ 혹은, 실험실의 광물들에서도 보셨을 수도 있구요....'원석'으로 표현되는 대표 이미지도 모두 공통적으는 '결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결정 이야기를 하고 있냐구요? 이번에 볼 영상이 바로 '결정학'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일반인들이라면 이 생소한 학문명에 대하여 고개를 갸우뚱 거릴지도 모릅니다. 이 학문이 현대 과학에 매우 유의미하다는 점은 다음 한 줄에서 증명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고체물질, 그리고 거의 모든 무기/유기 화합물도 결정질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 학문은 광물학의 한 분야를 장식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았고 물리학, 화학,금속학,생물할 등 광범위한 곳 까지 그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우리가 접하는 거의 모든 것은 바로 '결정'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지요. 결정질 물체의 구조와 그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기에 물리학에서 그토록 알기 원했던 원자나 입자의 배열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학문이기도 합니다. 우리 유전자DNA의 파악이 가능했던 것도 결정학 덕을 많이 보았죠. 이번 영상에서는 3분 안에(카레 아님) 결정학의 역사와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할 것입니다. 굉장히 클래식한(?) 배경 음악과 함께요 ^^; ***본 영상은 영국왕립연구소(Ri)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영국왕립연구소(Ri): http://www.rigb.org/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영국왕립연구소(The Royal Institution)


출처 https://tv.naver.com/v/9402103

조회수 4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