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펨토초의 영역에서 본 '분자(Molecular)'구조?



제가 어렸던 시절.. 그러니까.. 90년대는 그야말로 한국 애니메이션의 황금기였습니다. 모든 아이들을 특정 시간만 되면 집으로 복귀(?) 시킬 수 있을 만한 애니메이션들이 시간별로 상영되었고, 일요일은 특히나 늦잠자는 아이들이 잘 없을 정도로 디즈니 시리즈가 우리들의 동심을 채워주었었죠^^;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라서 그랬던 것일까요? 그 시절..풍선껌을 사면 특이하게도 아~주 작은 미니 만화책이 들어있었습니다. 20페이지 정도 되는..? 친구들과 함께 자신들이 뽑은 서로 다른 미니 만화책을 자랑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페이지를 '최라라락~' 넘기면 마치 애니메이션 인물들이 실제로 움직이듯 보였었죠. 실제로 애니메이션이 2차원 페이지로 존재하는 각 각의 페이지들을 합쳐서 Motion(동작)성을 가지게 하는 원리로 만들어 지니까요~ 이번에 볼 영상도 비슷합니다. 특별한 점은 그냥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펨토초의 영역..정말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시간 속에서 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그 포착물들에 동작성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있으니까요. 음..말하자면 '분자 영화'이겠습니다. ㅎㅎ분자의 모노드라마.. 특히나 이번 영상에 등장하는 링모양의 분자는 생화학이나 약물의 화합복합물들 사이에서 자주 볼 수있는 존재들인데요, 이 분자들의 X-선 레이저 촬영본을 합쳐 각 각의 분자들이 애니메이션과 같이 연속하는 동작성을 가지게 되고, 구조의 변화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특히나 가스 위에서 자유롭게 떠 다닐 수 있도록 한 링 모양의 분자는 다른 분자들과 엉킬 우려가 없기 때문에 매우 깨끗한 분자 구조 이미지를 출력 할 수 있다고 하네요~ 분자가 깨지고, 결속이 약해지고, 변화하는 과정이야말로 화학 분야에서 가장 집중하고 있는 분분이기 때문에, 분자 모형을 펨토초 영역에서 구현하는 것은 매우 획기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자면, 2차원의 사진만 보던 시대에서 영상 시대를 목격하게 되는 놀라움과 같다고나 할까요? 그럼, 분자가 보여주는 모노드라마(?)가 어떻게 가능하다는 것인지.. 확인해 보도록 할까요? ***본 영상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SLAC: https://www6.slac.stanford.edu/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스탠포드 선형 가속기센터(SLAC)


출처 https://tv.naver.com/v/9819472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