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패러데이의 실패...원소'불소'와의 악연?



과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손에 꼽을 수 있는 과학자 몇 사람이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그렇겠구요, 에디슨도 비슷한 경우(?)겠죠. 조~금 더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마이클 패러데이'라는 이름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패러데이의 역설'이겠지만요 ^^; 그런데 이 용어를 들어보신 분들이더라도 이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말 그대로 익숙한 법칙'명'에 불과하죠. 우리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자체는 너무나 익숙하지만 기껏해봐야 E=mc2 정도로만 내용을 표현 할 수 있는 것 처럼요. 마이클패러데이가 이 채널에서 특히나 주목받아야 할 인물이라는 점은, 이 영상이 제작 된 곳이자, 저희 채널과 협엽하고 있는 기관(영국왕립연구소)가 바로 패러데이에서부터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영국 정부에서 귀족들이 묻힐 수 있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패러데이의 사후 장소(?)를 지정 해 줄 정도로 영국 역사에 길이 남을 과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늘 성공궤도만을 달렸던 것은 아닙니다. 실패한 사례가 있었죠! 바로 '불소'의 분리였습니다. 전기화학의 아버지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물질을 대상으로한 전기분해 실험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그였지만, 불소의 분리는 실패로 끝나게 되었습니다. 그가 얼마나 치밀한 사람이었는지는, 불소 분리를 위한 실험 일지가 16,000단락에 달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습니다..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소를 분리해 내는 것에는 실패하고 말았지만요..ㅜㅜ(불소의 분리가 어려운 이유는 불소가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다른 원소와 단단히 결합해 화합물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집착이 강한 원소랄까요..?) 200여년 전 존재했던 위대한 과학자가 직접 작성했던 실험 일지와 노력의 흔적들을 보노라니... 뭔가 기분이 묘~해지기도 하네요 ^^; 위대한 과학자였지만, 대중 곁에서 대중과 함께하는 과학 발전을 꾀했던 마이클 패러데이, 그 정신은 지금까지도 영국왕립협회의 기본 정신으로 숨쉬고 있습니다.그럼...자세한 내용은 직접 영상으로 확인 해 보실까요? ***본 영상은 영국왕립연구소(Ri)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영국왕립연구소(Ri): http://www.rigb.org/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영국왕립연구소(The Royal Institution)


출처 https://tv.naver.com/v/9565774

조회수 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