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미래의 가속기를 위한 플라즈마 웨이크필드!




오늘의 영상은 애니메이션입니다!


플라즈마에서 생성된 웨이크(wake)를 사용하여


전자를 높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가속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방법은 에너지를 높이고


미래의 선형 입자 충돌기의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전자-양성자 가속 충돌기(Electron Positron Collider)를 만드는 현재 기술은


수십 킬로미터의 가속기가 필요합니다.


플라즈마 웨이크필드 가속은 더 짧고 경제적인 가속기를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해요!


영상을 통해 어떠한 원리인지 알아봅시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6.slac.stanford.edu/news/2015-08-26-antimatter-catches-wave-slac.aspx



***본 영상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SLAC: https://www6.slac.stanford.edu/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출처 https://tv.naver.com/v/9881102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