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mirimlee

뇌 신호전달체계의 비밀을 풀다?

최종 수정일: 2020년 4월 22일



가속기 센터가 하는 일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을 보여줍니다. 묵직한 기계장치만이 돌아갈 것 같은 이 곳에서 하는 일들은 의학 산업에까지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죠! 본 영상에서는 과학자들이 최초로 원자 단위의 스케일로 신경세포와 뇌 사이의 화학 메세지를 초고속으로 증폭 시키는 단백질을 3D구조화 하는 쾌거를 거두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물론 그 원리도 함께요^^; 덕분에 가설로만 존재하였던 시냅스 소포와 뉴런의 연합작용의 결과가 뇌에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지에 대한 증명을 할 수 있게 되었죠! 이로인해 뇌 기능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활용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지게 되겠죠? 도대체.. 이 사람들의 한계는 어디까지 일까요? ***본 영상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가 그 내용과 활용에 대한 신용을 보증합니다*** SLAC: https://www6.slac.stanford.edu/ ♥영상선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 :김상욱,이명현,이성빈,손승우,이은희 (아태이론물리센터 과학문화위원단) :김지윤,이세리,정혜심,이상곤,임소정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아태이론물리센터 외부자문위원단)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


출처 https://tv.naver.com/v/9162208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선정, 올해의 과학도서 온라인 저자 강연** APCTP 에서는 매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고 있는데요. 해당 도서들의 저자 강연도 진행합니다. 올해는 온라인 저자 강연으로 진행하게 되어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하게 되었는데요. 첫번째 시간으로 해도연 작가의 '외계행성:EXOPLANET'을 만나보겠습니다. 접

bottom of page